기사 메일전송
검찰, 노태우 '300억 원 비자금 의혹' 계좌추적 시작
  • 백지나 기자
  • 등록 2025-04-29 10:06:58
기사수정
  • 자금 은닉·승계 과정 역추적...공소시효 만료 여부 등 관건

▲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나비 관장. (사진=연합뉴스)


[e-뉴스 25=백지나 기자] 고 노태우 전 대통령 일가의 ‘300억원 비자금 은닉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계좌를 추적해 자금 흐름을 파헤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범죄수익환수부(부장검사 유민종)는 최근 노 전 대통령 일가 등의 금융계좌 자료를 확보해 자금 흐름을 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 측이 형태를 바꿔가며 비자금을 관리했을 것으로 보고 자금의 은닉과 승계 과정 등을 역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93년 금융실명제 시행 이전 자료 파악도 불가피해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공소시효가 살아 있는 부분이 드러날지가 관건이다. 300억원이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에 전달된 것으로 알려진 시점은 1991년으로, 범죄수익은닉규제법이 제정되기 전이다. 다만 법이 시행된 2001년 이후 범죄수익을 은닉한 행위가 드러나면 시행 전 조성된 범죄수익에 대해서도 처벌이 가능하다는 규정이 있다.


노 전 대통령의 비자금 의혹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과정에서 세간에 드러났다. 노 관장 측은 항소심에서 노 전 대통령 일가의 도움으로 SK그룹이 성장할 수 있었다면서 어머니인 김옥숙 여사가 보관해온 선경건설(SK에코플랜트 전신) 명의 50억원짜리 약속어음 6장의 사진 일부와 메모를 증거로 냈다. 메모는 김 여사가 1998년 4월과 1999년 2월에 노 전 대통령이 조성한 비자금을 기재한 것으로, ‘선경 300억원’이라고 쓰여 있었다. 


최 회장 측은 노 전 대통령 측으로부터 300억원을 받은 적이 없고, 노 전 대통령 퇴임 후 활동비를 요구하면 주겠다는 약속이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재판부는 이와 관련 "노 전 대통령의 유·무형적 기여가 있었다"고 사실상 주장을 받아들였고, 비자금 의혹에도 다시금 불이 붙었다.


5·18 기념재단은 지난해 10월 김 여사와 노 관장,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원장을 조세범 처벌법과 특정범죄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범죄수익 은닉의 규제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재단은 '선경 300억 메모'가 노 전 대통령 일가의 비자금 존재를 증명해 준다고 주장해 왔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재단 관계자들을 불러 고발인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TAG
0
대한민국 법원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