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금융위원회, 정책금융 조기집행 점검회의 개최
  • 박정미 기자
  • 등록 2025-02-19 23:36:11
기사수정
  • 산업현장 활력 회복 지원할 것

[e-뉴스 25=박정미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정책금융기관 조기집행 점검회의를 주재해 정책금융기관별 자금집행 현황을 점검하고. 상반기 중 자금집행 확대를 독려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1월 8일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 주재로 개최된 ‘2025 주요현안 해법회의’에서 정부는 실물경기의 조속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4월까지 예년대비 최대 10조원 확대된 정책금융을 집행하는 등 상반기 중 최대 60%를 신속 집행하기로 발표했다. 

 

금번 회의는 1분기의 절반정도가 지난 시점에서 핵심추진과제인 자금신속집행의 원활한 이행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2%대 저성장이 고착화된 가운데, 금년 실질성장률 전망치가 1%대로 하향되는 등 경제전망도 밝지 않다”며 “실물경기 회복속도가 늦춰지면 산업생태계 구성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만큼 정책금융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한다”고 정책금융 조기집행의 의미를 설명했다.

 

금년 중 산은·수은·기은·신보·기보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은 지난 주말인 14일까지 총 33.0조원의 자금을 공급해 전년대비 무려 17%에 달하는 4.9조원을 빠른 속도로 자금 집행하고 있다. 

 

각 기관은 일일실적 점검과 함께 현장독려를 강화하고,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조기도입 하는 등 원활한 자금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이러한 실적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길었던 설 연휴 등을 고려할 때 매우 빠른 집행속도”라며 협조해 준 정책금융기관 및 직원들에게 감사함을 표했다.

 

5개 정책금융기관은 3월말까지 88조원의 자금을 공급하고 특히 4월말까지는 2023년 기준 109.3조원 대비 13조원 확대된 122조원 이상의 자금을 산업현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연 ‘주요현안 해법회의’에서 발표한 ‘4월까지 +10조원’ 공급보다 3조원 추가 확대된 것으로 수출입은행의 목표치가 추가로 반영된 것이다. 이를 통해 정책금융기관 연간 공급계획의 60%를 상반기 내에 달성할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3월부터는 각 기업의 재무제표가 순차적으로 확정되고, 본격적인 설비투자가 시작되는만큼, 산업현장에도 활기가 가득하도록 금융위와 정책금융기관이 적극 지원해나가겠다”며 각 기관의 적극적 협조를 당부했다.

 

여신 중심의 총 공급액 뿐만 아니라 지분투자확대를 위한 정책펀드의 결성도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올해 3년차를 맞이한 연 3조원 규모의 혁신산업 육성·스케일업 목적 펀드인 ‘혁신성장펀드’는 예산안이 확정된 직후인 작년 12월 조성계획을 조기에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0일에 모펀드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했다. 

 

이는 재작년(3.31일), 작년(4.5일)에 비해 2개월가량 빠른 것으로 산업현장에 자금이 실제 공급되는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산업은행은 정부의 산은에 대한 자본금 증자가 실제로 집행되기 전인 지난 1월 24일부터 4.25조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출시했다. 

 

반도체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설비투자를 하려는 경우 산업은행을 통해 2%대 국고채 수준 금리로 자금을 대여받을 수 있으며, 작년 7월 산업은행의 자체여력으로 먼저 제공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업의 경우 새로 생긴 프로그램으로 대환(재원변경)을 진행할 수도 있다.

 

TAG
0
대한민국 법원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